국민은행 cma 통장 VS 우리은행 cma 통장 금리 더 좋은 쪽은?

cma상품도 금리인하 조치로 인해 현재 2%대 상품을 찾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cm상품을 최근 찾는 이유는 목돈만들기 목적보다는 단 0.1%라도 혜택을 더보기 위한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은행 cma 통장 vs 우리은행 cma 통장이라는 제목으로 잠시 이야기를 해보고 저금리 시대 해법은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은행 CMA 통장이란?

현재 KB투자증권의 RP형 금리는 1.70%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량채권으로 운용이 되고 있으며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해 예금보호가 되지 않기때문에 신중하게 선택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우리은행 CMA 통장이란?

현재 NH를 통해 가입할 수 있는 CMA 상품은 옥토입니다. 옥토의 현재 RP형 금리는 1.65%입니다. 각종 급여이체서비스와 수수료면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금리상으로는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느쪽이 더 좋을까?
제목은 둘 중 어느 곳을 선택해야 좋을지에 대해서 정했지만 사실 둘 중 어느 곳을 선택해도 결과는 "도토리 키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선택적인 문제는 두곳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렇게 CMA상품들의 금리가 바닥을 기고있는 상황에서도 최근 많은 분들이 CMA상품을 다시 찾는 이유는 연이자개념이 아닌 하루를 맡겨도 이자가 붙기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목돈마련의 목적이 아닌 여유자금을 최대한 활용해 0.1%라도 좀더 높은 혜택을 받기 위한 발버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목돈만들기가 가능할까? 싶어서 CMA상품을 찾는 분들이라면 현재는 CMA상품을 통해 목돈만들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이런 저금리상황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가 0.1%에 신경을 쓸때 누군가는 10%대 혜택을 꾸준히 받고 있는 분들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런 분들의 특징은 하나의 상품이 아닌 각종 펀드,적금,예금등을 적절히 활용한 분산투자와 지출을 줄이기 위한 절세에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입니다.
연말정산을 해보신 직장인분들이라면 절세의 필요성을 느끼셨을겁니다. 월급이 아무리 오른다고해도 결과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더 높고 세금적인 부담이 더 높아지기때문에 절세만 성공하더라도 최소한 목돈만들기를 몇년이라도 빨리 할 수 있습니다.

저금리시대 해법은 결국 전문가의 도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학입시에 수만가지 방법들이 있는것처럼 절체에도 수만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것만 제대로 안다면 지출을 줄이고 목돈만들기를 좀더 빨리 할 수 있으니 무료상담 기회가 있을때 좋은 해법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